본문 바로가기
정보공개

대도시권 광역교통위원회 제4차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안 최종 확정

by 봄가을아빠 2021. 7. 6.

제4차-대도시권-광역교통시행계획-썸네일

 

국토교통부 대도시권 광역교통위원회는 향후 5년간 권역별 광역교통망 계획 등을 담은 제4차 대도시권 광역교통 시행계획안(2021~2025)을 마련하고 대도시권 광역교통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2021년 7월 5일 최종 확정하였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제4차 대도시권 광역교통 시행계획은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5년 단위 중기 법정계획으로 계획 수립을 위해 전문 연구기관인 한국교통연구원에서 연구용역을 수행해 왔으며, 전문가 토론회, 광역교통 서포터스 간담회, 지자체 등 관계기관과의 협의, 공청회 등 폭넓은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제4차 대도시권 광역교통 시행계획(2021~2025)이 확정되었습니다.

 

 

 

1. 제4차 대도시권 광역교통 시행계획의 주요 내용

이번 제4차 대도시권 광역교통 시행계획(2021~2025)은 경계를 넘어 권역의 상생발전을 이끄는 빠르고 편리한 광역교통을 비전으로 권역별 여건을 고려한 추진전략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권역별 광역교통망 계획과 광역교통 개선 추진 과제를 제시하였으며, 계획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권역별 추진전략, 광역교통망 구축 및 운영 계획 

이번 제4차 대도시권 광역교통 시행계획(2021~2025)에서는 권역별 광역교통시설 및 통행 현황, 장래 여건 진단에 기초한 권역별 추진전략, 광역교통망 구축ㆍ운영 계획을 제시하였습니다.

 

 

 

(1) 수도권

수도권은 광역급행철도 및 광역 BRT 등 광역교통 인프라를 확충하고, 광역버스 준공영제 확대를 통해 대중교통 공공성을 강화합니다. 또한 신도시 광역교통 개선대책을 적기에 추진하고, 광역급행철도와 연계하여 환승센터를 적기에 구축하는 한편, 합리적 광역교통 요금체계도 확립할 계획입니다.

  • 기존 및 신규 수도권 광역급행철도의 적기 추진, 인천 2호선 고양연장, 동부 BTX 및 서부 BTX 등 신규 광역교통시설사업 선정
  • 청량리역 환승센터, 서울역 환승센터 등 신규사업 추진

 

(2) 부산ㆍ울산권

부산과 울산권은 일반철도의 광역철도 활용 및 신규 광역철도 추진 등 대중교통 중심의 광역교통 네트워크를 확충할 계획입니다. 또한 광역도로, 광역 BRT 확충 등으로 권역 내 연계를 강화하고, 광역환승할인 확대 및 통합요금제 시행도 추진합니다.

  •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신규 추진 및 동해선(태화강~송정 구간) 광역철도 활용
  • 부산 미음~가락 신규 광역도로 및 울산송정역 등 4개 신규 환승센터 추진

 

(3) 대구권

대구권은 광역철도 확충 및 대중교통 환승‧연계체계 강화, 광역도로 신설‧확장 등을 통한 소통 애로 구간 개선을 추진합니다. 또한 대구ㆍ경북 광역교통 거버넌스의 구축과 광역교통 모니터링 전담기관의 도입도 검토할 계획입니다.

  • 대구 1호선 영천 연장, 대구 안심~경산 임당 광역도로 등 추진

 

(4) 광주권

광주권에서는 신규 광역철도 추진, 광역버스체계 및 통합요금제 도입 등을 통해 대중교통 중심의 광역교통 네트워크를 확충하고 광역교통 이용자의 환승 편의 증진을 위해 기존 도시철도역사 중심의 환승 및 연계교통망 구축 등 지역 간 이동성도 강화할 계획입니다.

  • 광주~나주 광역철도, 광주 대촌~나주 금천 광역도로 등 추진

 

(5) 대전권

대전권은 광역철도, 광역도로, 광역 BRT, 광역환승센터 등 전반적인 인프라 확충을 통해 원활한 광역교통체계를 구축할 계획입니다. 또한 광역버스 확대 및 광역교통 요금체계 구축, 새로운 기술을 적용한 통합교통서비스 도입도 검토할 예정입니다.

  • 대전~세종 광역철도, 대전 대덕특구~세종 금남면 광역도로, 세종~공주 및 세종~청주 광역 BRT 등 신규사업 추진 및 기존 충청권 광역철도 사업의 안정적 추진

 

 

2) 계획에 반영된 광역교통시설

이번 제4차 대도시권 광역교통 시행계획에 반영된 광역교통시설은 총 122개로 광역철도 41개, 광역도로 25개, 광역 BRT 12개, 환승센터 44개 등입니다. 

2025년까지 광역교통시설 사업에 대해 국비 기준 약 7.1조 원이 투자될 계획으로 제3차 대도시권 광역교통 시행계획의 3.8조 원 대비 3조 원 이상 국비 투자규모가 증가할 예정입니다. 

 

 

3) 광역교통 개선을 위한 과제

광역교통망 구축과 함께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광역교통 개선위해 광역교통 운영 및 제도개선 과제를 선정하고 추진할 계획입니다. 구체적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광역버스 확충 및 서비스 향상

  • 광역버스 준공영제 확대(지방 대도시권, ~2025)
  • 저비용ㆍ고효율의 S-BRT 구축(계양ㆍ대장 지구, 창원 S-BRT 등)
  • 주요 간선도로에 이동식 중앙 분리대를 활용한 BTX 도입(동부 BTX, 서부 BTX)

 

(2) 빠르고 편리한 환승체계 구축

  • 주요 철도역 등에 환승센터 구축(2023 GTX-A 등)
  • 수평 환승체계 확산(GTX-B‧C 청량리역) 등 이용자 중심 환승체계 마련
  • 환승역에서의 환승 편의 제고를 위한 환승 기능 검토 강화

 

(3) 합리적인 광역교통 요금체계 구축

  • 알뜰 교통카드 전국 확대
  • 모바일 알뜰 카드 이용 지역 확대(서울ㆍ충청ㆍ제주→전국, ~ 2022)
  • 통합요금제 지방 대도시권 확대
  • GTX 개통 등에 대응한 지속 가능한 광역교통요금체계 마련(2022~)

 

(4) 광역교통개선대책 관리 강화

  • 일정 규모 이상 상업ㆍ업무용 개발사업 개선대책 수립 추진(2022~)
  • 사업 단계별 협의 지연 등 사업 지연 시 대광 위 중재ㆍ조정 강화
  • 광역교통 특별대책 지구제도 적극 활용

 

(5) 친환경 미래 교통 구현

  • 노선버스, BRT 등 대중교통 친환경차량(전기, 수소 등) 전환 추진
  • 트램, 트램-트레인 등 신교통수단 적극 도입(타당성 평가 기준 개선 등 활성화 기반 마련)
  •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와 광역교통 연계 강화

 

제4차 대도시권 광역교통 시행계획(2021~2025)과 관련된 권역별 광역교통시설 신규사업 현황, 권역별 광역교통시설사업 계획도가 포함된 세부내용을 아래에 첨부하오니 참조하시면 되겠습니다.

210706(석간) 광역철도 등 향후 5년간 광역교통 인프라 확충계획 마련(광역교통정책과).pdf
0.85MB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