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공개

금융위원회 보도자료; 2021년 7월 7일 안정망 대출Ⅱ와 햇살론15 출시

by 봄가을아빠 2021. 6. 28.
금융위원히 안정망 대출Ⅱ 핼살론 15 썸네일

금융위원회 서민금융과의 6월 28일 보도자료에 따르면 지난 3월 31일에 발표한 정책 서민금융 공급체계 개편방안의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최고금리 인하로 인한 저신용자 신용대출의 축소 가능성에 대비해서 서민들의 자금이용 기회 제공과 금리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서 2021년 7월 7일부터 안정망 대출Ⅱ와 햇살론 15를 출시한다고 밝혔습니다. 지금부터 7월 7일에 출시되는 안정망 대출Ⅱ와 햇살론 15에 대해 세부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안전망 대출Ⅱ

2021년 7월 7일에 출시되는 안정망 대출Ⅱ는 기존에 고금리로 이용하는 대출의 주요 이용자인 저신용이나 저소득의 차입자가 최고금리의 인하로 재대출이 어려워진 경우에 대환을 지원해 주는 상품입니다.

1) 이용 가능 대상자

안전망 대출Ⅱ은 최고금리 인하일인 2021년 7월 7일 이전에 연 20%를 초과하는 고금리 대출을 1년 이상 이용 중이거나 만기 6개월 이내로 임박한 기존 대출을 정상적으로 상환 중인 저소득자나 저신용자라면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저신용자란 연소득 3,500만 원 이하 또는 연소득 4,500만 원 이하이면서 개인신용 평점이 하위 20%인 자를 말합니다.

2) 적용금리

소득, 부채, 연체이력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한 상환능력 평가인 CSS 평가에 따른 고객 특성에 따라 17%~19%의 금리로 차등하여 적용됩니다.

3) 대출금액 한도

최대 2천만 원 한도에서 기존에 이용하던 20% 초과하는 고금리 대출 잔액 범위에서 대환이 가능합니다. 상환 능력을 초과하는 과도한 대출을 방지하기 위해 현재의 DSR(소득 대비 부채상환 부담률)을 기준으로 심사하고 고금리 대안 상품인 햇살론 15를 포함하여 한도 2천만 원으로 제한하였습니다.

4) 상환방법

안전망 대출Ⅱ는 3년 또는 5년 원리금 균등분할 상환하면 됩니다. 중도상환 수수료는 면제되어 있어 자유롭게 원금 상환이 가능합니다.

5) 이용방법

서민금융진흥원 앱 또는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를 통해서 보증 신청 후 은행에서 대출이 가능합니다. 대출신청 가능 은행은 전국 14개 은행으로서 신한은행, 전북은행, 우리은행, 국민은행, 농협은행, 하나은행, 기업은행, 광주은행, 부산은행, 수협은행, 경남은행, 제주은행, SC제일은행입니다. 다만, 전북은행, 광주은행, 수협은행, SC제일은행은 사전 보증 신청 없이 은행에서 원스톱으로 보증과 대출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6) 공급시기 및 규모

안정망 대출Ⅱ는 2021년 7월 7일부터 22년까지 3천억 원을 공급할 계획이며, 추후에 수요에 따라 공급규모가 조정될 수 있습니다.

7) 사전 상담기간

2021년 7월 7일부터 바로 대출이 실행되고 상품에 대한 충분한 상담이 가능하도록 6월 28일부터 7월 6일까지 사전 상담기간을 운영합니다.

8) 사전 상담방법

안정망 대출Ⅱ는 아래의 방법으로 사전 상담을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를 방문하여 상담을 받으시려면 콜센터나 모바일 앱을 통해서 사전 방문일자와 시간 예약을 하셔야 합니다.
① 서민금융 1397 콜센터 유선 상담
② 서민금융진흥원 앱으로 대출 가능 여부 실시간 조회
③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 방문 상담
사전 상담기간 중 보증 신청을 접수하여 심사 및 보증약정까지 체결하고, 대출은 7월 7일부터 고객이 지정한 은행을 통해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9) 사전 상담을 받기 위한 구비서류

안정망 대출Ⅱ에 대해 사전 상담을 받기 위해서는 본인 확인 서류(신분증), 소득증빙 서류(재직증명서, 소득증명서 등), 대환대상 채무 확인 서류가 필요합니다.

2. 햇살론 15(햇살론 17의 금리인하 등 개편 상품)

햇살론 15는 최고금리 인하에 따라 금리 하락을 반영하여 기존 햇살론 17을 변경하여 출시하는 상품으로 기존 금리 17.9%에서 15.9%로 2% 인하하였습니다. 이는 2021년 7월 7일 이후 약정 건부터 적용됩니다.
행살론 15는 정상적인 상환을 유도하기 위해서 성실 상환에 대해 연간 금리 인하폭을 0.5%씩 확대합니다.

1) 이용 가능 대상자

햇살론 15는 연소득 3,500만 원 이하 또는 연소득 4,500만 원 이하이면서 개인신용 평점이 하위 20%인 분들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존 햇살론과 달리 근로자뿐만 아니라 영세자영업자, 프리랜서, 농어민 등 직업과 무관하게 소득이 있는 모든 서민을 폭넓게 지원합니다.

2) 대출심사

햇살론 15는 대출 상환능력을 초과하는 과도한 대출의 방지를 위하여 DSR(소득 대비 부채 상환 부담률)을 기준으로 심사합니다. 최저 신용자에 대한 최종 제도권 상품인 만큼, DSR이 과도하게 높거나 현재 연체 중이지 않은 이상 가급적 지원할 수 있도록 심사합니다. 햇살론 15는 은행에 보증심사를 위탁하기 때문에 모든 절차를 원스톱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3) 자금용도

햇살론 15는 자금용도를 특정하지 않고 있으며 긴급자금이나 일반 생활비 등에 포괄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상품입니다.

4) 한도 및 상환

햇살론 15의 대출한도는 700만 원입니다만 코로나 19 상황으로 연말까지 한시적으로 최대 1,400만 원까지 특례로 대출이 가능합니다. 햇살론 15는 3년 또는 5년의 원리금 균등분할상환을 선택하여 상환해야 합니다.

5) 이용방법

안정망 대출Ⅱ와 같이 2021년 7월 7일부터 15개 은행에서 보증 및 대출을 원스톱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용 가능 은행은 신한은행, 전북은행, 국민은행, 농협은행, 하나은행, 기업은행, 광주은행, 부산은행, 대구은행, 수협은행, 경남은행, 제주은행, SC제일은행, 카카오 뱅크입니다. 다만 신한은행, 전북은행, 우리은행, 광주은행, 부산은행, 카카오 뱅크는 자체 모바일 앱을 통해서 방문 없이 온라인으로 대출의 가능 여부를 실시간으로 조회하고 보증과 대출까지 모바일 앱에서 이용이 가능합니다.
건강보험 미가입자, 급여 현금 수령자, 무등록사업자 등 햇살론 15를 이용하기 위한 서류를 증빙하기 어려운 분들은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에서 상담을 받거나 서민금융진흥원 앱을 통해서 보증약정을 한 후 은행에서 대출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728x90

댓글